대구경제동향

본문 바로가기

대구경제동향

  • 홈  >  연구  >  대구경제동향
대구경제동향.

대구정책연구원의 경제동향 목록입니다.

대구경제동향 (2025년 01월)

  • 발행일 2025. 02
  • 연구책임

    경제동향분석센터

  • 태그

본문

① ’24.11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하락, 향후 경기상황을 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

▪ (산업) ’24.12월 전년동월대비 자동차 산업의 출하는 증가하고, 재고는 감소하여 산업 실적이 개선, 전년동월대비 금속가공, 기계장비, 화학산업의 생산 및 출하 실적 악화

▪ (소비) ’25.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6.0로 전월대비 하락하였으며, 가계수입전망이 개선되었음에도 경기전망에 대한 인식이 비관적이어서 소비심리 위축

▪ (투자) ’24.12월 자본재 수입액은 전기용접기기 등의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2.4% 감소, 대구 주요 품목 중 의료용 기기는 꾸준히 증가세 유지, 반도체 관련 수입액도 증가

▪ (무역) ’24.12월 수출이 전년동월대비 9.2% 감소하였으나, 수입이 더 큰 폭(17.6%)으로 감소하여 무역수지가 개선되는 불황형 흑자, 화학공업제품, 기계류 등의 수출 실적 감소

▪ (고용) ’24.12월 실업률은 0.1%p 하락한 3.5%, 고용률은 1.1%p 하락한 56.8%, 취업자는 50대, 60대 이상이 증가했으나 15~29세와 40대 감소로 2만 3천명 감소(전년동월대비)

▪ (물가) ’25.1월 소비자물가는 2.1% 상승하여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이나, 석유류가 8.8%로 비교적 크게 상승,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2.5% 상승(전년동월대비)

▪ (금융) ’24.11월 가계대출금은 0.4% 증가하여 54.6조원, 주택담보대출은 0.6% 증가하여 40.0조원, 기업대출금은 0.1% 증가하여 88.1조원, 어음부도율은 0.1%로 0.02%p 감소(전월대비)

▪ (주택) ’24.12월 주택매매거래량은 24.3% 증가하였지만, 주택매매가격지수는 3.9% 하락(전년동월대비)

▪ (창업) ’24.11월 창업기업 수는 도소매업, 숙박음식점업, 부동산업, 교육서비스업, 기타 개인 서비스업 등의 감소 영향으로 전월대비 10.9% 감소(전년동월대비 △19.0%)


② 美 관세 조치로 무역수지 악화 및 원화 약세 가능성, 국내 및 지역에 미칠 영향 대비 필요

▪ 새로운 미국 행정부가 중국, 멕시코, 캐나다 등의 국가에 대해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각국의 보호무역주의가 가시화되었으며, 이는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악화 및 원화 약세 가능성 높임

▪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, 배터리, 반도체 등에 타격이 예상됨에 따라 지역 주요 산업인 자동차 부품 제조업, 2차전지 등에 영향이 불가피하며, 수입 원자재 및 물가 상승 영향 예상

▪ 수출 시장 다변화, 환율 및 물가 안정 조치 등 다방면의 종합적인 대책 마련 필요


요약

’24.11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하락, 향후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

회원로그인


그누보드5
  • 대구정책연구원
  •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, 10 ~ 12층(신천동, 대구정책연구원)
  • 461, Dongdaegu-ro, Dong-gu, Daegu, Republic of Korea
  • 대표전화 053)770-0500
  • COPYRIGHT ⓒ 2023 Daegu Policy Institute. All Rights Reserved.
대구광역시
대구시의회